당정청 회의서 이견 줄이고 중재안 마련키로한다
여당은 전국민 재난지원금서 선별 지원으로가즈아
기재부는 캐시백 한도 늘려 최대 50만원 검토중이다
내달초 추경 공개..학계 "국가채무도 신경써야"한다
당정이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에서 고소득층을 제외하고 신용카드 캐시백은 확대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데요.
재난지원금 선별 지원 입장인 정부와 캐시백 확대를 요구한 여당 입장을 절충하는 중재안을 마련하기 위해서죠.
당정, 재난지원금·캐시백 절충안 모색
21일 국회 등에 따르면 당정청은 지난 20일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데요.
정부 고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캐시백은 소비 복원·촉진, 경기 선순환, 골목상권 지원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여당과 조율이 수월한 상황”이라며 “재난지원금 대상을 줄이고 캐시백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네요.
재난지원금은 고소득층을 제외한 소득 하위 80~90%까지 지급하는 방안이 거론된데요.
앞서 민주당은 전 국민, 기획재정부는 소득 하위 70% 지급안을 주장했었어요.
하지만 고위 당정협의회를 거치면서 당정 충돌 양상으로 가지 않고 절충안을 모색하기로 한 것이레요.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당정이 큰 틀에서 합의를 했다”고 말했어요.
카드 캐시백은 올해 3분기 카드 사용액이 2분기보다 많을 경우 늘어난 카드 사용액의 10%를 카드 포인트로 돌려주는 방안이레요.
1인당 캐시백 최대 한도는 30만원 이상이 검토되고 있고요.
정부 고위 관계자는 “가구별로 생각하는 소비 총량이 있기 때문에 캐시백 한도를 무한정 높인다고 다 쓰진 않을 것”이라며 “50만원이 적정한지 볼 것”이라고 말했죠.
재원은 국채를 발행하지 않고 ‘초과 세수’를 활용할 예정이레요.
올해 4월까지 전년대비로 더 걷힌 세금이 32조 7000억원에 달한데요.
재난지원금을 전 국민에게 1인당 30만원 씩 주면 약 15조원, 소득 하위 80~90%까지 지급하면 10조원 넘게 필요할 전망이레요.
카드 캐시백은 1조원 안팎 재원이 예상된데요.
지난해 3분기 신용카드 사용액은 177조 4000억원으로 2분기(170조 4000억원)보다 7조원 증가했데요.
올해도 작년처럼 카드 사용액이 늘어날 경우 10%의 캐시백을 지원하면 약 70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데요.
경기반등 필요하지만 나랏빚 눈덩이 부담
당정은 금주에 구체적인 수치를 놓고 막바지 협의를 할 예정이레요.
국회는 22일·25일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 22~24일 대정부질문을 거쳐 막바지 추가경정예산(추경)안 논의를 할 예정이레요.
순조롭게 논의가 진행되면 정부는 28일 하반기경제정책방향, 내달초 추경안을 공개할 예정이예요.
이는 올해 2번째로 편성되는 추경안이자 2018년 12월 홍 부총리가 취임한 이후 7번째 추경안이예요.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국회를 통과한 추경 규모는 87조 5000억원에 달한데요.
이번 추경까지 포함하면 홍 부총리 취임 이후 추진한 추경 규모는 총 100조원을 돌파한데요.
정부는 소비를 늘리고 경기를 반등시키려면 확장적 재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예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18일 업계 간담회에서 “하반기 완전한 경제 회복과 선도형 경제로 구조 대전환을 위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2차 추경 등 가용 정책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죠.
하지만 국가재정 부담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고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가 30조 1000억원 적자(올해 3월말 기준)를 기록하는 등 나랏곳간에는 빨간불이 켜졌데요.
기재부에 따르면 국가채무는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660조 2000억원에서 집권 마지막 해인 2022년에 1070조 3000억원으로 증가한데요.
전문가들은 늘어난 초과 세수를 국가채무 상환에도 써야 한다고 입을 모았어요.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하반기 코로나 확산 여부를 보면서 향후 경제정책을 확장과 긴축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가져가야 한다”며 “재난지원금을 지원하되 국가재정 적자를 고려해 나랏빚을 줄이는데도 신경써야 한다”고 지적했데요.